처음 방문한 사용자들이 홈페이지를 잘 이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영상을 제공해 주면 좋겠습니다.
기술설명
이 기술은 영상에서 아바타 같은 도우미를 통해 웹 사이트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술을 말합니다.
아바타는 글을 읽는데 어려움이 있는 사용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시각 자료를 통해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집중해서 사용자들이 집중해서 볼 수 있습니다.
예시
[예시1] 온라인 뱅킹 홈페이지에 배나라는 이름의 아바타가 있습니다. 아바타는 처음 온라인 뱅킹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사용방법을 안내해 줍니다. 안내 내용을 시작, 중지, 일시 중지를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원하는 내용으로 되돌아가거나 빨리 넘어갈 수 있습니다. 대체 텍스트는 아바타 옆에 링크로 제공됩니다.
[예시2] 자원 봉사를 위한 사이트입니다. 새로운 자원 봉사자가 접근하면 환영 페이지가 제공 됩니다.
그 안에서 신청서를 작성 할 수 있습니다. 신청서 오른 쪽에는 신청서에 대한 설명이 아바타가 있는 대화형 멀티미디어 파일로 제공 되고 있습니다.
관련기술
G103: 아이디어, 이벤트 및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시각적 그림, 사진 및 기호 제공
H89: title 속성을 사용하여 상황에 맞는 도움말 제공
점검절차
1. 웹페이지에 도우미 기능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2. 도우미가 페이지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지 확인합니다.
나의 정리
인터넷 뱅킹이나 쇼핑몰처럼 기능이 많은 홈페이지의 경우, 처음 방문한 사용자들은 유용한 기능들을 모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기능들을 잘 활용할 수 있게 안내해주는 영상을 제공해 준다면, 사용자 들이 이를 보고 기능들을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텍스트로도 기능들을 설명해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글을 읽는데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들을 배려하여 캐릭터가 안내해 주는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영상에 대한 대체 텍스트를 링크로 제공해 주면 사용자가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처음 방문한 사용자들이 홈페이지를 잘 이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영상을 제공해 주면 좋겠습니다.
G193: Providing help by an assistant in the Web page
https://www.w3.org/TR/2016/NOTE-WCAG20-TECHS-20161007/G193.html
G193: Providing help by an assistant in the Web page | Techniques for WCAG 2.0
The purpose of this technique is to provide help using a multimedia avatar that provides assistance in using the Web page. An avatar can be particularly helpful to people with cognitive disabilities who may have trouble reading text. The use of visuals wil
www.w3.org
'웹접근성지침(WCAG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접근성 지침-일반기술 G195] 잘 보이는 초점 표시기를 제공해야 한다. (1) | 2025.03.27 |
---|---|
[웹접근성 지침-일반기술 G194] 맞춤법 검사 및 텍스트 입력 제안에 대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2) | 2025.03.26 |
[웹접근성 지침-일반기술 G192] 최대한 WCAG 2.0이 제시한 데로 만들자. (18) | 2025.02.13 |
[웹접근성 지침-일반기술 G191] 깜빡임 없는 페이지로 다시 로드할 수 있는 링크나 버튼 같은 기술을 제공해야 합니다. (1) | 2025.02.10 |
[웹접근성 지침-일반기술 G190] '웹 접근성'을 준수하지 않은 요소 옆에는 '이를 대체 버전으로 연결시키는 링크'를 제공해야합니다. (2) | 2025.02.05 |